뉴욕교협(회장 양민석 목사)이 주최한 "뉴욕! 포스트 팬데믹, 교회는 어떻게 가야 하나?" 포럼이 3일 동안의 일정을 마치고 지난 6월 24일에 막을 내렸다.
첫날에는 김정호 목사(후러싱제일교회)가 "목회 패러다임,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라는 제목으로, 허연행 목사(프라미스교회)가 "차세대 교육,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나?"라는 제목으로, 김성국 목사(퀸즈장로교회)가 "지역전도, 어떻게 해야 효율적일 수 있는가?"라는 제목으로 발제를 했다.
둘째 날에는 황영송 목사(뉴욕수정성결교회)가 "2세, 청장년 목회 어떤 변화가 필요한가?"라는 제목으로, 홍한나 권사(퀸즈장로교회)가 "코로나 19 이후, 신앙교육의 방향에 대한 제언"이라는 제목으로, 이현구 교육목사(퀸즈한인교회)가 "2세 교육, 어떤 변화가 필요한가?"라는 제목으로 발제를 했다.
다음은 둘째 날에 있었던 황영송 목사, 홍한나 권사, 이현구 교육목사의 발제와 질의응답 후에 있었던 뉴욕교협 회장 양민석 목사의 평가와 제언이다.
세 분 패널들께서 참 진지하고 깊이 있는, 핵심을 잘 잡아내는 발제를 해 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사실 2세 교육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 2세 목회자들에게는 가장 어려운 과제이고 또 풀기 힘든 숙제다, 그렇게 남아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감당해 내야 할 그런 과제이기도 합니다.
우리 세 분 아주 발제를 잘 해 주셨는데, 황영송 목사님, 지금 2세들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 변화, 새로운 도전과 변화, 창의적이고 정확한 디렉션을 제시해 주는 요구를 정확하게 말씀을 해 주신 것 같습니다.
또, 특별히 홍한나 권사님, 평신도의 관점에서 또 학부모의 관점에서 가정이라는 헌신 속에서 자녀교육의 중요성을 아주 잘 강조해 주셨습니다. 특별히 성서적인 입장에서 원론을 가지고 자녀교육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잘 섞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특별히 짚어주신 가운데서 자녀들을 잘 가르칠 수 있도록 교회가 부모들을 잘 가르쳐야 한다는 것을 중요한 포인트로 오늘 인식했습니다. 교회가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는 그 부모들을 교회가 잘 가르치는 것, 그것이 큰 과제라는 인식을 주셨습니다.
이현구 목사님, 특별히 교회가 신앙을 강조하지만, 자녀들에 대한, 차세대에 대한 교육을 강조하지만, 현실적인 지원이 부족하다고 하는 도전을 주셨습니다. 그런 면에 있어서 계속해서 논의되고 있습니다만, 2세 교육에 더 많은 투자를 각각 교회에서는 해야 하겠다는 것에 다시 한번 진단해 보았고요. 그리고 역시 현장 사역자들도 가정교육과의 연계성을 상당히 중요하게 강조해 주셨습니다. 교회만의 교육과정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을 해 주셨습니다.
세 분의 발제 내용을 들으면서 저는 이 세 분이 모두 강조하는 요점이 무엇일까 종합해 볼 때, 이 신앙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이 아닐까 라고 하는 것으로 요약해 보았습니다.
지금 교회에 나오지 못하는 입장에서 다들 커뮤니케이션을 인식하지요, 이 커뮤니케이션을 어떻게 할까 생각을 하다가, 방법을 찾다가 줌이라던가 또는 온라인, 영상회의 이런 것들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찾아간다는 말이죠.
저는 두 가지로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문제를 교회에 제안하고 갱신과제로 내놓고 싶습니다.
교회 안에서의 희망적인 커뮤니케이션, 교회 안에서의 커뮤티케이션은 하느님과의 관계도 커뮤니케이션입니다. 또 설교를 들으면서 우리는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되고요. 또 교회에서 간증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됩니다. 또 교회에서는 코이노니아를 통해서 서로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공동체를 세워나가고 은혜의 공동체가 되어 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떠한 것이 가장 좋은, 가장 최상의 커뮤니케이션이 될 수 있을까, 교회 안에서 우리의 영적인 대화, 신앙적인 대화, 신앙적인 소통이 어떤 것이 최상의 것이 될 수 있을까?
사실 저의 아들도 2세 교육을 하는 사역자이기 때문에 오늘 이 포럼을 놓고 저와 디스커션을 했습니다. 그 디스커션 중에 이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나왔습니다. 그 와중에 제게 자료를 하나 줘서 그 자료를 봤는데,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라는 곳에 실린 글이었습니다. 그 글에 의하면. 기업에서 각 그룹을 모아놓고 어떤 그룹이 가장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또 효율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냈느냐고 하는 것을 서치한 것입니다.
거기에 보면, 가장 커뮤니케이션이 안 되는 방법은 이메일이나 문자를 주고받는 그룹이었다는 거에요. 조금 더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전화였고, 목소리로 하는 것이고, 조금 더 높은 레벨은 화상, 요즘 많이 하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입니다. 그다음에 가장 좋은 커뮤니케이션이 뭐냐면, 페이스 투 페이스, 얼굴과 얼굴을 보고 하는 그런 대화의 방법, 커뮤니케이션이 있었고, 그리고 이런 분들이 가장 생산성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결과를 만들어 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것을 교회에 접목시킨다면, 지금 우리가 화상이라고 하는 것이 최상의, 베스트 커뮤니케이션처럼 여겨지는 시대이지만, 팬데믹 상황이니까. 그러다 보면, 자연스럽게 우리 안에 정착될 수 있지만, 우리가 계속해서 놓치지 말아야 할 부분은 페이스 투 페이스 이것이 상당히 우리 삶 속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이며 가장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하나라는 것을 다시 한번 잘 정립해 주는 것도 필요하지 않을까?
물론 이제 2세들이 그쪽으로 가기 때문에 우리도 그쪽으로 리스펙 해줘야 하고, 우리도 배워나가야 하고 우리도 그러한 커뮤티케이션의 기틀을 넓혀가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나 우리가 페이스 투 페이스로 하는 대화의 방법, 소통의 방법이 굉장히 효율적인 요소가 되겠다는 것도 놓치지 말아야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은 지금 이 페이스 투 페이스라고 하는 대화의 방법을 우리가 발전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영상 이런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하지만, 대화, 소통의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가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교회에서 얼굴과 얼굴을 보고 대화하거나 스쳐 가는 거 말고 아까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가 대화하다가 자녀들이 상처받고 대화가 단절되는 케이스가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아까 우리 목사님께서 게임을 하는 거 야단쳤다가 거기서 대화가 단절되었다, 그런 이야기를 하셨는데 사실은 우리가 대화라고 하는 것을 어떻게 할 그것이냐고 하는 것에 대해서 우리는 대화의 방법에 대한 공부가 많이 부족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세 분의 발제에 대해서 다시 한번 인식되는 것은 우리는 어떻게 대화할 것인가에 대해서 교회에서 많이 가르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 사항에 대해서는 저는 유대인의 하브루타 교육이라던가 쉐마교육이라던가 거기에 내용적인 면도 담아내야 하겠지만, 쉐마교육의 대화 방법 또 우리가 탈무드에서 가르치는 대화의 방법, 질문의 방법. 이 함무타, 즉 질문을 던져서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 질문을 잘 던지는 방법. 아까 목사님께서 게임을 하는 아이에게 잘 대화하는 방법으로, 왜 게임을 하느냐 묻고 그것을 현실적으로 끌어오고, 신앙적으로까지 끌어올 수 있을 때까지 대화를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는 방법입니다. 또 아이도 질문을 던질 수 있도록 유도해 가는 거, 그래서 우리는 교회 안에서 교회교육도 질문을 던지는 방법으로 많이 가야 하고, 그래서 커뮤니케이션도 이루어지는 그런 방법으로 가야 하고, 가정에서도 질문을 잘 던지면서 신앙적으로 끌고 가고 또 상처받지 않는 방법으로 갈 수 있는, 그런 것들을 우리가 연구하고 발전해 나가야 하겠다고 생각하고, 교회에서 대화하는 방법 예를 들자면 유대인의 교육 하브루타 라던가 그런 것들을 많이 연구해서 교회를 소통의 장으로 만들어 갔으면 하는 제안입니다.
감사합니다.
정리 : 신지나 집사
ⓒ 복음뉴스(BogEumNews.Com)